청년자산형성 3대 정책

중소기업 재직자 우대저축공제 중도 해지·중도 퇴사 시 주의 사항

“연 550만 원 소득공제 +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까지!”

중소기업 재직자 우대저축공제!

⚠️ 중도 해지 또는 퇴사 시 얼마나 손해일까?

5년 만기 유지 시 최대 4,000만 원대의 수령이 가능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저축공제. 하지만 중간에 퇴사하거나 해지하면 기업지원금과 세제 혜택이 모두 회수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중도 해지 시 불이익

재직자 납입금 : 전액 환급
기업지원금 : 전액 반환
이자수익 : 일부만 지급(우대금리 제외)
세제혜택 : 소득공제 및 감면분 회수

중도 퇴사 시 자동 해지

• 퇴사와 동시에 해지 처리
• 기업지원금 지급 중단 + 기존 금액 전액 회수
• 이자 적용 중단 및 복리 혜택 상실
사유 불문, 5년 미만 시 대부분 혜택 무효

실제 사례 예시

• 월 30만 원 적립 / 2년 만에 퇴사
→ 본인 납입금 720만 원만 수령, 기업지원금 및 복리 이자 전액 소멸
예상 수령액 2,400만 원 → 실제 수령액 700만 원대

🛡️ 중도 해약 막는 실전 팁 3가지

급여에서 빠져나가는 저축금이 부담돼 해지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하지만 조금만 관리하면 끝까지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실전 팁을 실천해보세요.

1. 최소 금액으로 시작하세요

• 월 10만 원부터 시작 가능
• 수입이 적은 시기엔 적립금 부담을 최소화하고도 자격 유지 가능

2. 급여이체 통장을 같은 은행으로

• 급여 통장과 같은 은행에서 자동이체 설정
우대금리 혜택 + 이체 누락 방지를 동시에 챙기세요

3. 해약 고민 전, 은행 상담 필수

• 예상 수령액, 손해액 등 중간 점검 리포트 제공 가능
• 일부 은행은 중도해지 전 금리 일부 보전 프로그램 제공

📈 5년 만기까지 유지하는 전략

중도 해지 없이 만기까지 유지하려면, 실질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. 절세 혜택을 완전히 누리기 위한 3단 전략을 소개합니다.

① 퇴사 일정 조율

• 만기 직전 퇴사는 전액 회수 사유가 될 수 있음
5년 채우고 퇴사하는 일정 설계 권장

② 기업과 사전 소통

• 기업 납입 중단 시 전체 해지 처리됨
• 담당자와 미리 소통하여 공제 유지 여부 확인

③ 다른 제도와 병행 운영

• 청년내일채움공제, IRP 등과 병행하면 자산형성 시너지 극대화
금융상품 포트폴리오화로 해약 유혹 줄이기

요약 : 5년간의 시간은 길지만, 혜택은 확실합니다. 기업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지키고 싶다면, 지금부터 계획적으로 유지 전략을 세워보세요.